노드 2

[네트워크] 컴퓨터통신 - 6편. 노드와 링크 자세히 보기

노드의 정체노드(node)는 네트워크 상에서 링크와 연결된 기기(하드웨어)이다. 노드는 역할에 따라 단말기(terminal), 호스트(host), 스위치(switch)나 라우터(router) 등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즉, 노드는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한 목적으로 설계된 하드웨어로 생각할 수 있다. 노드를 범용 컴퓨터라 한다면, 노드도 'CPU - Cache - Memory'의 계층적인 하드웨어 구조를 가진다. 이 구조에서 입/출력이 네트워크 어댑터(Network Adaptor)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etwork Interface Card; NIC)를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으면 노드가 된다. 노드는 메모리라는 유한한 저장공간을 가져 네트워크에서 많은 양의 트래픽이 도착할 경우 데이터..

CS/네트워크 2025.07.07

[네트워크] 컴퓨터통신 - 2편. 통신의 첫 단계: 연결(Connectivity)

통신의 주체통신에서는 정보를 전달하는 송신자와 정보를 전달받는 수신자가 있다. 결국, 송수신하는 주체가 정의되어야만 통신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다. 컴퓨터통신에서 통신의 주체는 통신 응용(application)이다. 카카오톡의 문자를 수신하기 위해선 '카카오톡'이라는 응용 프로그램이 주체가 되어 통신한다. 하지만, 우리는 휴대폰이 통신을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휴대폰은 통신의 말단에 존재하기 때문에 단말기(terminal, host)라고도 불리며, 네트워크와 단말기 사이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해서 당분간 단말기를 통신의 주체로 이야기할 것이다.노드와 링크네트워크는 그래프 이론(graph theory)을 이용해 모델링할 수 있다. 단말기를 노드(node)로, 노드 간 통신 연결을 링크(l..

CS/네트워크 2025.06.10
반응형